⚠️ 팀 노션을 여기에 멘션해주세요!
<aside>
<img src="/icons/bookmark_gray.svg" alt="/icons/bookmark_gray.svg" width="40px" /> 역할분배 + ETA
</aside>
-
이번 주차에 완성해야 할 것
- 모니터링
- 세진님: 1) 슬랙 웹훅 연동, 클라우드워치에서 전송, 1-1)서버 http 전송, 1-2) 메세지큐(SQS)에서 전송 1-3)AWS Chatbot로 cpu경보 슬랙알람 등 다양한 이슈 전송 방법 연구하기
- 슬랙알람 한국어로 바꿀 수 있는지, codepipeline연결해서 빌드,배포 실패여부도 슬랙알람보내기
- 세진님 : ECS - Auto Scaling( scale out , scale in & scale up ). RDS - Scaling (scale out)
- 재철님: 인위적인 에러(http exeption 에러) 핸들링 방법 고안(http exeption filter 사용)
- 재준님: 로깅 고도화, 에러발생시 스택트레이스 깔끔하게 보낼 방법 연구하기
-
장애대응부분
-
한 일
- 로깅 컨벤션_0718
- 프로젝트에 로거 설정 완료
- RDS auto scaleing은 적용하지 못했습니다. 이유는 RDS Aurora가 아닌 RDS MySQL로 사용중인데, 원티드 기술 블로그에서 확인해보니, 일반적인 RDS MySQL은 Auto Scaling 기능과 무중단 스케일 업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글을 읽었습니다. RDS MySQL에서는 수동으로 인스턴스 유형을 변경해야 하며, 인스턴스 크기 조정이나 확장에는 일시적인 중단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Aurora로 마이그레이션 해도 됬었으나, 수동으로 Scale up & out 하는 방법으로 했습니다.
CloudWatch 슬랙 알람2) - CloudWatch logs + Lambda + Slack
CloudWatch 슬랙 알람1) - AWS Chatbot
AWS 스케일링 RDS Scale up & out (수동)
AWS 오토스케일링 (ECS) - Scale Out & Scale In
-
앞으로의 계획
<aside>
<img src="/icons/bookmark_gray.svg" alt="/icons/bookmark_gray.svg" width="40px" /> 팀별 산출물 양식
</aside>
<aside>
<img src="/icons/bookmark_gray.svg" alt="/icons/bookmark_gray.svg" width="40px" /> 기술 스택
</aside>
- 언어 - Typescript
- 프레임워크 - Nest.js
- 패키지매니저 - Pnpm
- 데이터베이스 - MySQL & Prisma
- 테스트 - Jest
- CI/CD - Github Action
- 배포 - AWS ECR / AWS ECS Fargate / AWS RDS
- 이외에도 기술적인 방향을 잡기 위한 질문을 정리해오시면 가장 좋습니다!
- 질문1 - 이재철) 부하테스트할 때 aws 비용이 많이 나오지 않을까요? 그리고 파게이트는 부하에 따라 성능을 자동으로 늘린다고 들었는데 스트레스 테스트가 가능할까요?